89세 여자가 내원 1일전부터 발생한 복통과 발열로 내원하였습니다. 혈액검사 소견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환자는 심방세동으로 항응고요법을 시행하고 있었습니다.
WBC 22,760/mm2, Total bilirubin 3.4 mg/dL, AST/ALT 125/232 IU/L,
ALP 245 IU/L, GGT 324 IU/L, CRP 14.35 mg/dL
복부 CT결과(그림 1)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그림 1] CT에서 총담관에 결석이 관찰됨.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출혈경향이 있어 결석을 당장 제거하지 못하고 그림 2와 같이 플라스틱스텐트(7Fr X 7cm double pigtail)를 삽입하였습니다.
[그림 2] 플라스틱스텐트(7Fr X 7cm double pigtail) 삽입을 통한 담관배액술 시행

약 6개월 후 환자는 항응고약제를 미리 복용 중단 후 재입원하여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을 시행하였습니다. 그림 3과 같이 이전에 비해 결석이 부스러진 것이 관찰 되어, 그림 4와 같이 내시경유두부풍선확장술 및 기계쇄석술을 통해 모든 결석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였습니다.
[그림 3] 6개월 전 담도조영술과 비교하여 결석들이 부스러진 것이 관찰됨.
[그림 4] 유두부풍선확장술 및 기계쇄석술을 통해 모든 결석을 제거함.
● 질문: 총담관결석 환자에서 임시담관배액술을 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해설: 이상적으로는 첫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을 시행할 때 모든 결석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환자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출혈경향을 높일 수 있는 약제를 복용중이던 경우 무리하게 결석을 모두 제거하려고 시도하면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첫 시도에서 무리하게 제거하지 않고 담관스텐트를 삽입해 두면 담관의 배액을 유지하면서 환자 상태가 안정화될 수 있고,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합병증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결석과 스텐트의 마찰로 인하여 결석의 크기가 줄어들거나 부스러져서 이후 시술에서 결석을 제거하기가 더 수월해집니다.
● 질문: 이러한 환자에서 임시담관배액술을 시행할 때 적절한 스텐트는 어떤 것인가요?
● 해설: 금속보다는 플라스틱 스텐트가 권장되며, straight type보다는 결석의 위쪽에 잘 거치될 수 있는 pigtail type이 권장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여러 개를 삽입하거나, 10Fr 보다는 7Fr를 삽입하면 마찰을 통해 결석을 더 제거하기 쉽게 만든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전향적 연구가 필요합니다.
● 질문: 처음 임시담관배액술 후 두번째 시술은 언제 하는 것이 좋은가요?
● 해설: 필요시, 혹은 문제가 생겼을 때 시술하는 것 보다는 일반적으로 3-6개월 후 두번째 시술을 시도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간격이 이보다 길어지면 스텐트 막힘으로 인하여 담관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질문: 고령의 기저질환이 많은 환자에서 무리하게 결석을 제거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담관스텐트만 교체하면서 치료해도 되나요?
● 해설: 담관스텐트는 언제든 막힐 수 있고, 고령의 기저질환이 많은 환자에서 심각한 담관염이 발생하는 경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면 시술을 통해 결석을 모두 제거하려는 시도를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다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여러 번에 걸쳐 시술을 나누어 시도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Key Messages
1. 당장 제거가 어려운 총담관결석의 경우 임시담관배액술을 시행하는데, 일반적으로 pigtail plastic stent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 시술은 담관의 배액을 유지해줄 뿐 아니라,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결석의 크기를 줄여 두번째 시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2. 두번째 시술은 3-6개월 후 시도하는 것이 권장되며, 환자 상태에 따라 여러 번에 나누어 시도할 수 있습니다. 시술 시 스텐트만 교체하기 보다는 가능하면 결석을 제거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References
1. Gianpiero Manes et al. Endoscopic manage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s: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ESGE) guideline. Endoscopy
. 2019 May;51(5):472-491.
2. Pietro Di Giorgio et al. Endoscopic plastic stenting for bile duct stones: stent changing on demand or every 3 months. A prospective comparison study. Endoscopy. 2013 Dec;45(12):1014-7.
3. Koki Hoshi et al. Association of long-term endoscopic biliary stent placement with choledocholithiasis: a literature review. Clin J Gastroenterol. 2021 Oct;14(5):1303-1307.
4. Dong Kee Jang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ete clearance of difficult common bile duct stones after temporary biliary stenting followed by a second ERCP: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Endoscopy. 2020 Jun;52(6):462-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