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세 남자환자가 가슴불편함, 간헐적 삼킴곤란 증상으로 내원하였습니다. 환자는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치료 받은 기왕력이 있으나 정기적인 약물 복용은 하지 않으며, 이외 특이 병력은 없었습니다.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습니다. [그림1].
[그림 1]
● 질문: 내시경 소견과 의심되는 진단은 무엇입니까?
호산구성 식도염
● 해설: 호산구성 식도염은 식도 증상과 함께 조직학적으로 식도에 호산구 증가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2018년 개정된 국제적인 합의에 따르면 호산구성 식도염의 진단은 삼킴 곤란, 음식물 걸림 등과 같은 식도 증상이 있으면서, 식도 조직 생검에서 호산구가 ≥15 eos/hpf (≥60 eos/mm2) 관찰되고, 호산구가 식도에 침착 될 수 있는 2차성 원인 질환들(호산구성 위장염, 결체조직 질환, 감염, 약물 과민증, 크론병 등)이 없는 경우 진단할 수 있다고 정의하였습니다. 원인은 위식도역류나, 우유나 밀가루 음식 등의 식품알레르기 항원에 의해 유발될 수 있고 과거 기타 알러지 병력이 있던 환자들에서 주로 나타난다는 보고도 있지만 뚜렷하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특징적인 내시경 소견은 부종(edema), 원형 주름(circular rings), 백색의 삼출물 (white exudate), 종축 방향으로 선상의 골(linear furrow), 협착(stricture) [그림2] 등이 있으며, 정상 점막 소견으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있거나 내시경적으로 이러한 소견이 관찰될 때 질환을 의심하고 식도 점막에서 조직검사를 통하여 호산구 침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는 천식과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소인이 있는 자로 내시경 소견상 협착, 선상의 골, 원형 주름, 부종 등을 보이고 있어서 내시경적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다수의 호산구를 병리학적으로 진단하였습니다.
[그림2] 내시경적 소견 (EREFS)
● 질문: 치료는 무엇입니까?
양성자펌프억제제 등
● 해설: 약물치료중에는 양성자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와 국소 스테로이드가 대표적이며 제거 식이(eliminate diet)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양성자펌프 억제제의 단독 치료를 통해 많은 경우 증상이 조절되기에 일반적으로 선호되며, 호산구 식도염 환자에서 보고된 양성자 펌프억제제의 반응률은 30-70%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는 흡입스테로이드를 삼키어 식도로 내려가게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됩니다. 알레르기병의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원인의 제거가 도움이 되는데, 식이 치료의 일환인 회피 요법(food elimination diet)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높은 항원성을 가진 6가지 음식 (The six food elimination diet, SFED; 유제품, 계란, 밀, 콩, 견과류, 해산물)이 알려져 있습니다. 1차적인 약제 및 치료에도 remission이 되지 않는 경우는 다양한 생물학 제제등을 고려 할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항염증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삼킴 장애, 식도 협착 또는 좁은 내강의 식도를 가진 환자에게는 내시경적 식도 확장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림3]
[그림3] 호산구 식도염의 치료
Key Messages
1. 호산구성 식도염은 병력 청취로 질환을 의심하고, 병리학적 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시경적 소견을 이해하고 및 조직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양성자펌프억제제와 같은 약물 치료나 식이 치료를 1차적인 치료로 시행할 수 있으며, 환자에 따라 합병증여부와 2차적 치료 필요성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References
1. Dellon ES, Liacouras CA, Molina-Infante J, et al. Updated international consensus diagnostic criteria for eosinophilic esophagitis: proceedings of the AGREE conference. Gastroenterology 2018; 155:1022-1033.e10
2. Peterson, K., Collins, M. H., Aceves, S. S et al. Concepts and Controversies in Eosinophilic Esophagitis: What's Coming Down the Pipe? Gastroenterology, 2024;166, 382-395.
3. AJ Lucendo et al., Guidelines on eosinophilic esophagitis: evidence-based statements and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in children and adults, United European Gastroenterol J. 2017;5(3): 335–358